[정보처리기사 실기] 네트워크 신기술 용어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효율적인 관리 및 최적화 가능
NFV(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화하여 하드웨어 의존도를 줄이고 유연성을 높이는 기술
Wi-SUN(무선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 스마트 그리드 및 IoT 환경에서 저전력 장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
NFC(근거리 무선 통신) - RFID 확장 기술로 짧은 거리에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무선 통신 방식
스몰 셀(소형 기지국) - 낮은 전송 파워와 좁은 커버리지를 가진 소형 기지국으로 실내 및 도심에서 네트워크 품질을 개선
블루투스(블루투스) -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 기술로 다양한 기기 연결 가능
BLE(저전력 블루투스) - 블루투스의 저전력 버전으로 IoT 기기 연결에 최적화된 무선 통신 기술
Zing(Zing) - 초고속 근접 무선 통신 기술로 10cm 이내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를 제공하는 방식
BcN(광대역 컨버전스 네트워크) - 통신, 방송, 인터넷을 통합하여 품질이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C-V2X(셀룰러 차량 간 통신) - 이동통신 기반으로 차량 간 정보를 교환하여 자율주행 및 교통 안전을 향상시키는 기술
메시 네트워크(메시 네트워크) - 다중 홉 방식으로 기기 간 자율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
UWB(초광대역 무선) -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여 낮은 전력으로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술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식
WBAN(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 - 인체 주변에서 저전력 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스마트 헬스케어에 활용
NDN(명명 데이터 네트워크) - 기존 IP 주소 대신 데이터 이름을 기반으로 통신하는 방식
네트워크 슬라이싱(네트워크 슬라이싱)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최적화하는 기술
NOMA(비직교 다중 액세스) - 주파수 효율을 높여 여러 단말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
MEC(모바일 엣지 컴퓨팅) - 기지국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처리를 빠르게 수행하는 기술
사물인터넷(IoT)(사물인터넷) -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기술
MQTT(메시지 큐잉 텔레메트리 전송) - IoT 환경에서 최적화된 경량 메시징 프로토콜
COAP(제약된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 M2M 기기 간 REST 기반의 비동기적 통신을 지원하는 방식
Zigbee(지그비) - 저전력, 저비용, 저속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홈 및 산업용 IoT에서 많이 사용됨
스마트그리드(스마트그리드) - 전력망을 지능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