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자바 접근 지정자 이해하기

Posted by nkjok
2025. 2. 2. 13:05 낙서장[1]/91. Java
반응형

접근지정자


자바 접근 지정자 이해하기

자바에서 중요한 개념인 접근 지정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특히, 클래스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다룰 때 꼭 이해해야 할 내용이다. 자바 접근 지정자의 종류와 각각의 특징을 설명한다.

1. 접근 지정자의 종류

자바에는 네 가지 주요 접근 지정자가 있다. 각 접근 지정자는 클래스, 메서드, 필드 등이 다른 클래스에서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1. private: 동일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2. default: 동일 패키지 내에서 접근 가능하다.
  3. protected: 동일 패키지 내에서 접근 가능하며, 다른 패키지의 하위 클래스에서도 접근 가능하다.
  4. public: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하다.

2. 접근 지정자의 사용 예시

  • private: 'class AA'의 private 멤버는 'class AA'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다른 클래스나 패키지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 default: 'class AA'의 default 멤버는 같은 패키지 내의 다른 클래스에서는 접근 가능하지만, 다른 패키지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 protected: 'class AA'의 protected 멤버는 같은 패키지 내의 다른 클래스뿐만 아니라, 다른 패키지의 하위 클래스에서도 접근 가능하다.
  • public: 'class AA'의 public 멤버는 모든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하다.

3. 패키지 구조 설명

사진에는 두 개의 패키지(Package A와 Package B)가 있다. 각 패키지에는 여러 클래스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Package A에는 'class AB', 'class AA', 'class AAC'가 있고, Package B에는 'class BB'와 'class AAB'가 있다. 'class AAC'와 'class AAB'는 'class AA'를 상속받는다.

 

 

자바의 접근 지정자는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접근 지정자를 적절히 사용하면, 코드의 보안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부분에서만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