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1]: 9개의 글

[Java] 배열을 거꾸로 출력하기

Posted by nkjok
2025. 1. 24. 19:51 낙서장[1]/91. Java
반응형

public class Reverse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 = { 1, 2, 3, 4, 5 };
        // 배열 요소를 거꾸로 출력하는 코드 작성
        for (int i = array.length - 1; i >= 0; i--) {
            System.out.printf(array[i] + "");
        }

    }

}

출력결과: 54321

배열을 거꾸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for 루프를 사용한다. 여기서 i는 배열의 길이만큼 정의하여 배열의 마지막 인덱스를 가리킬 수 있다. 배열의 길이가 5이므로 i는 처음에 4가 되며, 배열 인덱스 4에서 시작하게 된다(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

루프는 i가 0보다 크거나 같은 동안 계속 반복되며, 각 반복마다 i를 1씩 감소시킨다(i--). 이렇게 함으로써 인덱스 4부터 0까지 차례로 역순으로 순회할 수 있다.

루프 내에서는 array[i]가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배열 요소를 가리키며, 이를 출력하여 배열의 요소들을 거꾸로 나열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배열의 마지막 요소부터 첫 번째 요소까지 역순으로 출력할 수 있다.

( int[] array = { 1, 2, 3, 4, 5 };에서 array.length는 배열의 길이를 반환한다. 이 배열의 길이는 5다.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니까, 마지막 요소의 인덱스는 array.length - 1이 된다. 즉, array.length는 5이고, 마지막 요소의 인덱스는 5 - 1 = 4 이다.)

※ 아래는 배열의 요소들을 역순이 아닌 정상적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다.


public class ReverseArra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 = { 1, 2, 3, 4, 5 };
        for (int i = 0; i < array.length; i++) {
            System.out.printf(array[i] + "");
        }

    }

}

출력결과: 12345

반응형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 정의, 용도, 사용 방법 및 예시

Posted by nkjok
2025. 1. 24. 18:09 낙서장[1]/91. Java
반응형

Java 람다식(Lambda Expression): 정의, 용도, 사용 방법 및 예시

1. 람다식(Lambda Expression)의 정의

람다식은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를 생성하기 위한 표현식이다. 이는 메소드의 구현을 단순하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Java 8부터 도입된 람다식은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지원하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다.

2. 람다식의 용도

  • 간결한 코드: 불필요한 코드(익명 클래스 등)를 줄이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 함수형 인터페이스: 람다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Single Abstract Method Interface)를 구현할 때 유용하다.
  • 스트림 API: Java 스트림 API와 함께 사용하여 컬렉션 데이터의 필터링, 매핑, 집계 등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3. 람다식의 사용 방법

람다식의 기본 형태는 (parameters) -> expression 또는 (parameters) -> { statements; }이다.

  • 매개변수가 하나인 경우: parameter -> expression
  • 매개변수가 여러 개인 경우: (parameter1, parameter2) -> expression
  • 코드 블록이 포함된 경우: (parameters) -> { statements; }

4. 람다식 예시

람다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의 간결성을 살펴보자.

4.1. 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익명 클래스를 사용한 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Runnable runnable = 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람다식을 사용한 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Runnable runnable = ()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4.2. Comparator 인터페이스 구현

익명 클래스를 사용한 Comparator 인터페이스 구현:

Comparator<String> comparator = new Comparator<String>() {
    @Override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return s1.compareTo(s2);
    }
};

람다식을 사용한 Comparator 인터페이스 구현:

Comparator<String> comparator = (s1, s2) -> s1.compareTo(s2);

 

4.3. 스트림 API와 람다식

스트림 API와 람다식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요소를 필터링하고, 매핑하고, 집계하는 예시:

List<String> names = Arrays.asList("John", "Jane", "Tom", "Alice");
List<String> filteredNames = names.stream()
                                  .filter(name -> name.startsWith("J"))
                                  .collect(Collectors.toList());

filteredNames.forEach(System.out::println);

위 예시에서 filter(name -> name.startsWith("J")) 부분이 람다식을 사용한 코드야. 이는 리스트의 각 요소가 "J"로 시작하는지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형

'낙서장[1] > 91.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배열을 거꾸로 출력하기  (0) 2025.01.24

[DataBase] 조인 SQL문

Posted by nkjok
2025. 1. 24. 15:53 낙서장[1]/94. DataBase
반응형

1. LEFT JOIN

LEFT JOIN은 왼쪽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와 오른쪽 테이블의 일치하는 레코드를 반환한다. 왼쪽 테이블에 일치하는 레코드가 없으면 NULL 값을 포함한 레코드를 반환한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LEF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2. INNER JOIN

INNER JOIN은 두 테이블 간의 일치하는 레코드만 반환한다. 일치하는 레코드가 없으면 결과에 포함되지 않는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INNER JOIN TableB B ON A.key = B.key;

3. RIGHT JOIN

RIGHT JOIN은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와 왼쪽 테이블의 일치하는 레코드를 반환한다. 오른쪽 테이블에 일치하는 레코드가 없으면 NULL 값을 포함한 레코드를 반환한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RIGH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4. LEFT JOIN with NULL condition

LEFT JOIN에 WHERE 조건을 추가하여 오른쪽 테이블에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만 반환한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LEF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WHERE B.Key IS NULL;

5. FULL OUTER JOIN

FULL OUTER JOIN은 두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반환하며,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는 NULL 값을 포함한다. SQL에서는 FULL OUTER JOIN을 UNION으로 구현할 수 있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LEF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UNION
SELECT * FROM TableA A RIGH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6. FULL OUTER JOIN with NULL condition

FULL OUTER JOIN에 WHERE 조건을 추가하여 어느 한쪽에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만 반환한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LEF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UNION
SELECT * FROM TableA A RIGH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WHERE A.key IS NULL OR B.key IS NULL;

7. RIGHT JOIN with NULL condition

RIGHT JOIN에 WHERE 조건을 추가하여 왼쪽 테이블에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만 반환한다.

sql
SELECT * FROM TableA A RIGHT JOIN TableB B ON A.key = B.key WHERE A.Key IS NULL;

이러한 JOIN 종류를 사용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결합하고 조회할 수 있다. 상황에 맞게 적절한 JOIN을 선택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MYSQL-%F0%9F%93%9A-JOIN-%EC%A1%B0%EC%9D%B8-%EA%B7%B8%EB%A6%BC%EC%9C%BC%EB%A1%9C-%EC%95%8C%EA%B8%B0%EC%89%BD%EA%B2%8C-%EC%A0%95%EB%A6%AC 발췌

반응형

[JPA] Spring Data JPA의 Pageable 인터페이스: 페이징과 정렬을 손쉽게 처리하기

Posted by nkjok
2025. 1. 24. 15:19 낙서장[1]/3. JPA
반응형

Spring Data JPA의 Pageable 인터페이스: 페이징과 정렬을 손쉽게 처리하기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징과 정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Pageab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Pageable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사용법을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다.

1. Pageable 인터페이스란?

Pageable 인터페이스는 스프링 데이터에서 페이징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를 통해 간단하게 페이지 번호, 페이지 크기, 정렬 방식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반영할 수 있다.

2. Pageable 인터페이스의 주요 메서드

Pageable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주요 메서드를 제공한다:

  • int getPageNumber(): 현재 페이지 번호를 반환한다.
  • int getPageSize(): 페이지당 항목 수를 반환한다.
  • long getOffset(): 페이지의 시작 위치를 반환한다.
  • Sort getSort(): 정렬 방식을 반환한다.

 

3. Pageable 사용 예시

1). Repository 인터페이스에 Pageable 추가: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Page<Post> findByWriter(String writer, Pageable pageable);
}

 

2). 서비스 메소드에서 Pageable 사용: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Service {
    private final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public Page<Post> getPostsByWriter(String writer, int page, int size)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page, size, Sort.by("regDate").descending());
        return postRepository.findByWriter(writer, pageable);
    }
}

 

3).  컨트롤러에서 Pageable 사용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PostController {
    private final PostService postService;

    @GetMapping("/posts")
    public ResponseEntity<Page<Post>> getPostsByWriter(
            @RequestParam String writer,
            @RequestParam int page,
            @RequestParam int size) {
        Page<Post> posts = postService.getPostsByWriter(writer, page, size);
        return ResponseEntity.ok(posts);
    }
}

위 예시에서는 PostRepository에 findByWriter 메소드가 Pageable을 인자로 받도록 정의했고, PostService에서 PageRequest.of 메소드를 사용하여 Pageable 객체를 생성하여 Repository에 전달했다. 그리고 PostController에서 해당 메소드를 호출하여 결과를 반환하고 있다.

4. Pageable의 장점

  • 간편한 페이징 처리: 페이지 번호, 페이지 크기, 정렬 방식을 쉽게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적용할 수 있다.
  • 유연한 정렬 방식: Sort 객체를 사용하여 여러 필드에 대한 정렬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 직관적인 API: Pageab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페이징과 정렬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5. 결론

Pageable 인터페이스는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징과 정렬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페이징과 정렬을 간편하게 적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반응형

[SpringBoot] @RequestBody 애노테이션

Posted by nkjok
2025. 1. 24. 14:40 낙서장[1]/2. SpringBoot
반응형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은 주로 REST API 개발에서 사용되며, HTTP 요청 본문(body)을 지정된 Java 객체로 자동으로 직렬화(serialize)하거나 역직렬화(deserialize)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JSON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쉽게 매핑할 수 있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ostMapping("/api/users")
    public ResponseEntity<?> saveUser(@RequestBody User user) {
        // 사용자 정보 처리 로직
        return new ResponseEntity<>(user, HttpStatus.CREATED);
    }
}

 

위 코드에서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은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JSON 데이터를 User 객체로 매핑한다. 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가 보낸 데이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JPA] JPQL 쿼리 설명

Posted by nkjok
2025. 1. 24. 13:59 낙서장[1]/3. JPA
반응형

 

String jpql = "SELECT o FROM Order o JOIN o.customer c ON o.customer_id = c.id"

 

 

이 쿼리에서 Order 테이블과 Customer 테이블을 조인할 때 사용되는 컬럼은 Order 테이블의 customer_id 컬럼과 Customer 테이블의 id 컬럼이다. 

 

조인 관계

Order 테이블                      Customer 테이블
| id | order_date | total_amount | customer_id |   JOIN   | id | name | email | phone |
|----|------------|--------------|-------------|    ON    |----|------|-------|-------|
| 1  | 2023-01-01 | 10000        | 101         |   <-->   | 101| John | john@example.com | 123-4567 |
| 2  | 2023-01-02 | 20000        | 102         |          | 102| Jane | jane@example.com | 234-5678

Order 테이블의 customer_id 컬럼과 Customer 테이블의 id 컬럼을 기준으로 조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ustomer_id 값이 Customer 테이블의 id 값과 일치하는 레코드를 찾아서 조인한다는 의미다

 

해설) o.customer는 Order 엔티티에서 Customer 엔티티와 연관된 필드를 나타낸다

Order 엔티티에는 Customer 엔티티와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필드가 있다. 이 필드는 보통 ManyToOn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매핑되며, 이는 여러 개의 Order가 하나의 Customer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형

[JPA] 일반 JOIN과 FETCH JOIN을 지연 로딩(LAZY)과 즉시 로딩(EAGER)과 접목한 차이와 장단점

Posted by nkjok
2025. 1. 24. 09:51 낙서장[1]/3. JPA
반응형

Java Persistence API(JPA)를 사용하면서 JOIN을 활용하여 여러 엔티티 간의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JPA에서 일반 JOIN과 FETCH JOIN을 지연 로딩(LAZY)과 즉시 로딩(EAGER)과 접목했을 때의 차이와 각자의 장단점을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다.

1. 일반 JOIN + 지연 로딩(LAZY)

일반 JOIN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이다. 지연 로딩(LAZY)은 연관된 엔티티를 실제로 사용할 때까지 로딩하지 않는 방법이다.

 

public List<Order> findOrdersWithCustomerLazy() {
    String jpql = "SELECT o FROM Order o JOIN o.customer c ON o.customer_id = c.id";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jpql, Order.class).getResultList();
}

 

장점:

  • 성능 최적화: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로딩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 메모리 절약: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로딩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단점:

  • N + 1 문제: 일반 JOIN을 사용할 때 연관된 엔티티를 개별적으로 조회하기 때문에 다수의 쿼리가 발생할 수 있다.
  • 초기화 문제: 연관된 엔티티를 접근할 때 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다.

2. 일반 JOIN + 즉시 로딩(EAGER)

일반 JOIN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이다. 즉시 로딩(EAGER)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로딩하는 방법이다.

예시:

public List<Order> findOrdersWithCustomerEager() {
    String jpql = "SELECT o FROM Order o JOIN o.customer c ON o.customer_id = c.id";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jpql, Order.class).getResultList();
}

장점:

  • 즉시 사용 가능: 조회 시점에 모든 데이터가 로딩되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 간단함: 단일 쿼리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두 조회할 수 있다.

단점:

  • 성능 저하: 불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로딩하기 때문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 메모리 사용: 모든 데이터를 로딩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

3. FETCH JOIN + 지연 로딩(LAZY)

FETCH JOIN은 조인과 동시에 연관된 엔티티를 한 번에 로딩하는 방법이다. 지연 로딩(LAZY)은 연관된 엔티티를 실제로 사용할 때까지 로딩하지 않는 방법이다.

예시:

public List<Order> findOrdersWithCustomerFetchLazy() {
    String jpql = "SELECT o FROM Order o JOIN FETCH o.customer c ON o.customer_id = c.id";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jpql, Order.class).getResultList();
}

장점:

  • 성능 최적화: 연관된 엔티티를 한 번에 로딩하여 N + 1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로딩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 메모리 절약: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로딩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단점:

  • 복잡성: 쿼리 작성이 복잡할 수 있으며, 주의가 필요하다.
  • 초기화 문제: 연관된 엔티티를 접근할 때 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다.

4. FETCH JOIN + 즉시 로딩(EAGER)

FETCH JOIN은 조인과 동시에 연관된 엔티티를 한 번에 로딩하는 방법이다. 즉시 로딩(EAGER)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로딩하는 방법이다.

예시:

public List<Order> findOrdersWithCustomerFetchEager() {
    String jpql = "SELECT o FROM Order o JOIN FETCH o.customer c ON o.customer_id = c.id";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jpql, Order.class).getResultList();
}

장점:

  • 성능 향상: 연관된 엔티티를 한 번에 로딩하여 N + 1 문제를 해결한다.
  • 즉시 사용 가능: 조회 시점에 모든 데이터가 로딩되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

  • 성능 저하: 불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로딩하기 때문에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 메모리 사용: 모든 데이터를 로딩하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

5. 결론

JPA에서 일반 JOIN과 FETCH JOIN을 지연 로딩(LAZY)과 즉시 로딩(EAGER)과 접목했을 때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일반 JOIN과 FETCH JOIN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연 로딩(LAZY)과 즉시 로딩(EAGER)을 통해 성능과 메모리 사용을 조절할 수 있다.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효과적으로 JPA를 활용 할 수 있다

반응형

[JPA]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JPA 기초

Posted by nkjok
2025. 1. 24. 09:27 낙서장[1]/3. JPA
반응형

JPA 기초 가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Java Persistence API(JP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표준 방법이라고 한다. JPA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종속성을 최소화하고, 객체를 쉽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JPA의 기초 개념과 함께 Dialect에 대해 알아보겠다.

 

1. JPA란 무엇인가?

JPA는 Java EE(Enterprise Edition) 플랫폼의 표준 API로, 자바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 매핑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JPA를 사용하면 직접 SQL 쿼리를 작성하지 않고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JPA의 주요 구성 요소

  • Entity: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이다. 각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그리고 엔티티의 각 필드는 테이블의 열(Column)에 대응한다.
  • Entity Manager: 엔티티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로, 엔티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조회하는 역할을 한다.
  • Persistence Unit: 하나 이상의 엔티티 클래스를 포함하는 논리적 그룹으로, persistence.xml 파일에서 정의된다.

 

3. JPA의 동작 원리

JPA는 기본적으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프레임워크로 동작한다. ORM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객체 지향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4. Dialect란 무엇인가?

각 데이터베이스는 고유한 SQL 문법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JPA는 이러한 각 데이터베이스별 고유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Dialect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 Dialect: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SQL 방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ySQL, Oracle, PostgreSQL 등 각 데이터베이스별로 고유한 SQL 방언이 존재하며, JPA는 이러한 방언을 지원하기 위해 Dialect 클래스를 제공한다.

 

5. JPA 설정

JPA 설정은 주로 persistence.xml 파일에서 이루어진다. 이 파일은 META-INF 폴더에 위치하며,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와 엔티티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persistence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version="2.1">
    <persistence-unit name="exampleUnit">
        <class>cohttp://m.example.Entity</class>
        <properties>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mysql://localhost:3306/mydb"/>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username"/>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password"/>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cohttp://m.mysql.jdbc.Driver"/>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MySQL5Dialect"/>
        </properties>
    </persistence-unit>
</persistence>

JPA를 Spring Boot와 함께 사용할 때는, 대부분의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 또는 application.yml 파일에서 처리한다. 이는 Spring Boot가 기본적으로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해주기 때문에 persistence.xml 파일을 따로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되는 거다.

하지만 persistence.xml 파일이 어디에 쓰이는지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persistence.xml 파일은 JPA 표준을 따르는 Java EE 어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와 엔티티 매핑 정보를 정의한다.

 

Spring Boot에서 JPA 설정하기

Spring Boot에서는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통해 JPA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와 Hibernate Dialect 설정을 이렇게 한다: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mydb
spring.datasource.username=username
spring.datasource.password=password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cohttp://m.mysql.cj.jdbc.Driver

spring.jpa.database-platform=org.hibernate.dialect.MySQL5Dialect
spring.jpa.show-sql=true
spring.jpa.hibernate.ddl-auto=update

 

주요 설정 설명 (Spring Boot에서 JPA 설정하기)

  • spring.datasource.url: 데이터베이스 연결 URL
  • spring.datasource.username: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이름
  • spring.datasource.password: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
  •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 JDBC 드라이버 클래스 이름
  • spring.jpa.database-platform: Hibernate Dialect 설정
  • spring.jpa.show-sql: SQL 쿼리 로그 출력 여부
  • spring.jpa.hibernate.ddl-auto: DDL(Data Definition Language) 자동 실행 설정 (update, create, create-drop, validate 중 하나)

이러한 설정들을 통해 JPA를 Spring Boot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persistence.xml 파일은 사용하지 않지만, 동일한 설정을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정의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JPA의 장점

  •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JPA는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으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 생산성 향상: JPA를 사용하면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되어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유지보수 용이성: 객체 지향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7. 결론

JP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Dialect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JPA를 활용하여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경험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