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대칭키(Symmetric Key) 비대칭키(Asymmetric Key) 암호화

Posted by nkjok
2025. 4. 17. 09:41 낙서장[2]/오답노트
반응형

대칭키(Symmetric Key) 암호화비대칭키(Asymmetric Key) 암호화 알고리즘을 정리해볼게요.

 

🔐 대칭키 암호화(Symmetric Key Encryption)

📌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빠른 연산 속도가 특징

알고리즘특징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56비트 키 사용, 블록 크기 64비트, 현재는 안전하지 않음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128/192/256비트 키 사용, 빠르고 강력한 보안 제공
ARIA (Advanced RIghts Architecture) 한국에서 개발된 국가 표준 암호화, 128/192/256비트 키 사용
SEED 한국에서 개발된 암호화 알고리즘, 128비트 블록 크기 및 키 사용
IDEA (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128비트 키 사용, 강력한 암호화지만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음
SKIPJACK 미국 NSA에서 개발, 80비트 키 사용, Clipper 칩에서 사용
Blowfish 32~448비트 가변 키 사용, 빠르고 강력한 보안 제공
Twofish Blowfish의 개선판, 128~256비트 키 지원, AES 후보였음
Camellia 일본에서 개발, AES와 유사한 성능, 금융 및 정부기관에서 사용
RC4 스트림 암호 방식, 빠르지만 보안 취약점 발견됨
RC5 가변적인 블록 크기와 라운드를 지원하는 알고리즘
RC6 RC5의 확장판, AES 후보였으나 선정되지 않음

 

🔑 비대칭키 암호화(Asymmetric Key Encryption)

📌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보안성이 높지만 연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알고리즘특징

RSA (Rivest-Shamir-Adleman)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개키 암호, 큰 수의 소인수분해 기반
ECC (Elliptic Curve Cryptography) 타원 곡선 수학적 원리 기반, RSA보다 빠르고 키 길이 짧음
DSA (Digital Signature Algorithm) 전자 서명에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
ElGamal 키 크기가 클수록 안전함, Diffie-Hellman 기반
Diffie-Hellman 안전한 키 교환을 위한 알고리즘
PQCrypto (Post-Quantum Cryptography)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암호화 기법
Ed25519 고속 전자 서명 알고리즘, ECC 기반

 

🏆 정리

대칭키 암호화연산 속도가 빠르지만, 키 관리가 어려움
비대칭키 암호화보안성이 뛰어나지만, 속도가 느림
✔ 현재는 AES, RSA, ECC 등 강력한 암호화 방식이 널리 사용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