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HDLC NRM, ABM, ARM

Posted by nkjok
2025. 4. 17. 16:44 낙서장[2]/오답노트
반응형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비트 지향 프로토콜로, 데이터 통신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HDLC의 전송 모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HDLC의 전송 모드(Operational Modes)

🔹 일반 연결형(정규 응답 모드, Normal Response Mode, NRM)
주로 주종(Master-Slave) 구조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 **주국(Primary Station)**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종국(Secondary Station)**은 요청을 받은 후 응답하는 방식입니다.
주국이 통제권을 가지고 있으며, 종국은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음 → 종속적인 구조

🔹 비동기 균등형 응답 모드(Asynchronous Balanced Mode, ABM)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운영되는 전송 모드입니다.
두 개의 통신국(Primary & Secondary)이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
동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최신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

🔹 비동기 응답 모드(Asynchronous Response Mode, ARM)
✔ NRM과 유사하지만 종국(Secondary Station)이 데이터 전송을 자유롭게 수행 가능
주국(Primary Station)이 요청하지 않아도 종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 제한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HDLC 프레임 구조

HDLC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프레임(Frame) 구조를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프레임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플래그(Flag)] → [주소(Address)] → [제어(Control)] → [데이터(Information)] → [FCS(Frame Check Sequence)] → [플래그(Flag)]

플래그(Flag):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01111110)
주소(Address):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장치의 주소 정보
제어(Control): 프레임의 유형(데이터, 제어, 응답)을 지정하는 필드
데이터(Information):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
FCS(Frame Check Sequence): 오류 검출을 위한 CRC(순환 중복 검사)

HDLC의 주요 특징

비트 지향 프로토콜 → 비트 단위로 제어하며 데이터 흐름을 관리
단방향 및 양방향 통신 가능 → 다양한 전송 모드를 지원
오류 제어 기능 포함 → 프레임 체크 시퀀스를 활용한 오류 검출 기능 제공
동기식 전송 방식 사용 →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가능

💡 즉, HDLC는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링크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