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기타/Linux-리눅스: 71개의 글

맥북 우측 커맨드키로 한영전환 설정하기

Posted by nkjok
2021. 4. 4. 19:11 OS&기타/Linux-리눅스
반응형

출처 : launchctl remove keymap rm /Users/Shared/keymap sudo rm /Library/LaunchAgents/keymap.plist

#  해당글의 삭제가 필요 할 시 댓글 주시면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1. hidutil 로 키매핑 매크로를 만듭니다.

printf '%s\\n' '#!/bin/sh' \\ 'hidutil property --set '"'"'{"UserKeyMapping":[{"HIDKeyboardModifierMappingSrc":0x7000000E7,"HIDKeyboardModifierMappingDst":0x70000006D}]}'"'" \\ >/Users/Shared/keymap chmod 755 /Users/Shared/keymap

 

2. keymap.plist 를 만들어 매크로를 로그인때마다 실행하여 줍니다

cat<<: >/Users/Shared/keymap.plist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LabelkeymapProgramArguments/Users/Shared/keymapRunAtLoad :

 

3. 재부팅 후에도 실행될수 있도록 경로를 변경하여 줍니다. 

sudo mv /Users/Shared/keymap.plist /Library/LaunchAgents

 

4. launchctl load를 실행합니다.

launchctl load /Library/LaunchAgents/keymap.plist

 

5. 좌측상단 "사과" -> 시스템환경설정 -> 좌측상단점박이 -> 키보드 -> 입력소스 -> 이전입력소스선택 -> 우측커맨드눌르기 -> F18확인

이제 우측커맨드로 한영이 변경되는지 확인하고 사용합니다.

 

---------------------------------

ex) 추후 원복을 원할경우 터미널에서

launchctl remove keymap

rm /Users/Shared/keymap sudo

rm /Library/LaunchAgents/keymap.plist

 

 

**** 윈도우 키보드를 맥북 키 레이아웃 변경시 1번을 아래의 코드로 대치

printf '%s\\n' '#!/bin/sh' \\ 'hidutil property --set '"'"'{"UserKeyMapping": [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0x7000000E6,"HIDKeyboardModifierMappingDst": 0x70000006D},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0x7000000E2,"HIDKeyboardModifierMappingDst": 0x7000000E3},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0x7000000E3,"HIDKeyboardModifierMappingDst": 0x7000000E2}]}'"'" \\ > /Users/Shared/keymap chmod 755 /Users/Shared/keymap

반응형

[YUM 사용 불가] CentOS 6은 2020 년 11 월 30 일에 수명이 종료되었습니다.

Posted by nkjok
2020. 12. 12. 20:19 OS&기타/Linux-리눅스
반응형

CentOS6.9 YUM 서비스 종료.txt
0.00MB

 

원인 :
# CentOS 6은 2020 년 11 월 30 일에 수명이 종료되었습니다. YUM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저장소에 연결을 시도합니다. 따라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저장소 URL을 업데이트하고 저장소를 가리켜 야합니다.
# CentOS 6 reached end of life on the 30th November 2020. YUM attempting connect to deprecated repositories. So, we need update deprecated repositories URL’s and point to the vault.


1. # cd /etc/yum.repos.d/
2. # cp CentOS-Base.repo CentOS-Base.repo.old
3. # vi CentOS-Base.repo
4. [base] [updates] [extras] ----아래 내용 복붙 ----
5. # yum clean all

 

---아래 내용 복붙----
[base]
name=CentOS-$releasever - Base
#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os&infra=$infra
#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os/$basearch/
baseurl=https://vault.centos.org/6.10/o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6

# released updates
[updates]
name=CentOS-$releasever - Updates
#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updates&infra=$infra
#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updates/$basearch/
baseurl=https://vault.centos.org/6.10/update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6

# additional packages that may be useful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 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release=$releasever&arch=$basearch&repo=extras&infra=$infra
# baseurl=http://mirror.centos.org/centos/$releasever/extras/$basearch/
baseurl=https://vault.centos.org/6.10/extras/$basearch/
gpgcheck=1
gpgkey=file:///etc/pki/rpm-gpg/RPM-GPG-KEY-CentOS-6

 

반응형

[리눅스] IPTABLES 사용법 -2 [실무]

Posted by nkjok
2019. 12. 15. 00:21 OS&기타/Linux-리눅스
반응형

watch -n 1 iptables -nvL


service iptables save (저장)
- 저장하지 않으면 재시작/재부팅 후 추가한 정책없음
service iptables start (시작)
service iptables stop (정지)


iptables -nL
iptables -nvL = 패킷 수, 패킷 bytes 포함


-I 맨 위
-A 맨 아래


-p 프로토콜
-m 모듈
-j 점프

 

생성
iptables -A INPUT -p tcp -m tcp --dport 22 -j ACCEPT (목적지 22 포트 허용)
iptables -A INPUT -p tcp -m tcp --dport 22:30 -j DROP (목적지 22~30 포트 범위 차단)
- 순차 적용으로 인해 22 포트는 허용, 23~30 포트는 차단

iptables -A INPUT -p icmp --icmp-type echo-request -j DROP (icmp-request 차단)
iptables -A INPUT -p icmp -j DROP (ICMP 차단)
iptables -A INPUT -s 192.168.0.0/24 -j ACCEPT (출발지 IP 대역 허용)
iptables -A INPUT -d 192.168.0.100 -j DROP (목적지 IP 차단)
iptables -A INPUT -s 192.168.44.0/24 -d 0.0.0.0/0 -j DROP (특정 출발지 IP 대역만 차단)
iptables -A INPUT -s 0.0.0.0/0 -d 0.0.0.0/0 -j DROP (전부다 차단)
iptables -A INPUT -s 0.0.0.0/0 -d 0.0.0.0/0 -j ACCEPT (전부다 허용)

넘버링 확인
iptables -nL --line-number

삭제
iptables -D INPUT 6

 

반응형

[MacOS] Windows + 방향키 기능 쓰기 (Spectacle)

Posted by nkjok
2019. 10. 26. 11:24 OS&기타/Linux-리눅스
반응형

Spectacle.app.zip
2.86MB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에서 접근 권한 줘야함,

option + command + 방향키 로 윈도우와 동일하게 작동함

반응형

[리눅스] 파티션 설정, 마운트 및 fstab 영구 마운트

Posted by nkjok
2019. 9. 3. 15:39 OS&기타/Linux-리눅스
반응형

fdisk /dev/sdb 명령어

n
p, e p는 주파티션 e는 확장파티션
p 눌러준다
1 파티션번호 지정 sdb1, sdb2
시작섹터랑 마지막섹터 설정나오는데
그냥 엔터쳐서 넘어가면 된다
p 눌리면 생성된 파티션 확인가능
w 눌리면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
q 는 저장안하고 나가는거
d 는 삭제
m 눌리면 명령어 전부다 출력
--

파티션을 나눈다면
펄스트 섹터는 그냥 엔터하고
라스터 섹터는 +2G (+1G) 설정해주고
엔터 하면 생성 된다

--
이제 포맷을 한다
mkfs.ext4 /dev/sdb1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mkfs가 메이크 파일 이런말이다
메이크파일시스템 약자
--
이제 마운트를 시켜줘야한다
media/mydata 라고 폴더를 하나만들어서
여기다 마운트 시킨다
*폴더에 파일들을 담아놓고 그폴더에 하드나 시디를
마운트시키면 마운트된 파일들이 링크되고
기존에 담아둔 파일들은 보이지 않는다
파일을 숨길수 있는 팁

마운트를 무한으로 하기
재부팅하면 마운트가 해제될수 있는데
매번 마운트 하려면 번거로우니까
마운트 고정시키는법
gedit /etc/fstab 를 열어 수정한다
--

#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Thu Apr 20 01:36:30 2017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UUID=7e5907e0-daeb-4abc-ada8-e508a976208e / xfs defaults 1 1
UUID=cca247a2-1106-49ee-b1ab-f2dd4c59522b swap swap defaults 0 0
--
/dev/sdb1 /mydata ext4 defaults 1 2
위처럼 맨 아래 다음줄에
/dev/sdb1 /mydata ex4 def.. 1 2를 추가해준다

1 첫번째 1은 덤프를 사용할건가 사용하지않을건가
2 두번째는 2는 파일시스템이 이상있나없나 체크하는거
2로 하는이유는
첫번째 하드를 먼저체크하고
내가 장착한 하드를 체크하겠다
첫번째껀 사용하면 1 안하면 0
두번쨰껀 1, 2 밖에없다
3번쨰 하드를 추가로 달아줘도 2로 설정해주면된다

df 명령어
디스크파티션 약자
어떻게 마운트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
# /etc/fstab
# Created by anaconda on Thu Apr 20 01:36:30 2017
#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UUID=7e5907e0-daeb-4abc-ada8-e508a976208e / xfs defaults 1 1
UUID=cca247a2-1106-49ee-b1ab-f2dd4c59522b swap swap defaults 0 0
/dev/sdb1 /mydata ext4 defaults 1 2

맨밑줄에 이렇게 추가해준다
하드를 만약 탈착할 경우
위에 추가해준 글도 지워야 부팅이 된다

반응형